쩌이의 블로그

다양한 정보들 올려 보도록 할게요. 저의 관심사는 물론 알아두면 좋은 것들 잘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아!

  • 2025. 3. 21.

    by. jjeoe89

    목차

      환경디자인(Environmental Design) 개요

      환경디자인은 인간이 생활하는 공간을 보다 효율적이고 아름답게 조성하는 디자인 분야입니다.
      크게 공간 개념과 자연 개념으로 나눌 수 있으며, 각각의 목적과 접근 방식이 다릅니다.

       

      1. 공간 개념 ; 실내디자인 & 실외디자인

      공간 개념은 물리적인 환경을 중심으로 디자인하는 영역을 의미합니다.
      주어진 공간의 기능과 미적 요소를 고려하여 사용자의 경험을 향상시키는 것이 목표입니다.

       

      (1) 실내디자인(Interior Design)

      실내디자인은 건축물 내부 공간을 계획하고 꾸미는 디자인을 말합니다.
      색채, 가구 배치, 조명, 재료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능성과 심미성을 조화롭게 구성합니다.

      세부 분류

      • 주거 공간 디자인: 가정의 편안함과 효율적인 동선 고려 (ex. 아파트, 주택 인테리어)
      • 상업 공간 디자인: 브랜드 정체성과 고객 경험을 극대화 (ex. 카페, 레스토랑, 쇼핑몰)
      • 업무 공간 디자인: 효율성과 창의성을 높이는 환경 조성 (ex. 사무실, 코워킹 스페이스)
      • 전시 및 문화 공간 디자인: 콘텐츠 전달력을 극대화하는 구조 설계 (ex. 박물관, 미술관)
      • 의료 및 교육 공간 디자인: 심리적 안정감과 기능적 동선을 고려 (ex. 병원, 학교)

      특징

      • 공간 활용 극대화
      • 사용자 중심의 인체공학적 설계
      • 조명, 색채, 가구 배치를 통한 분위기 조성

       

      (2) 실외디자인(Exterior Design)

      실외디자인은 건물 외부와 공공 공간을 계획하는 디자인 분야입니다.
      조경, 조명, 표지판, 거리 가구 등의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기능성과 미적 요소를 조화롭게 구성합니다.

      세부 분류

      • 건축 외관 디자인: 건물의 외형과 재료 디자인 (ex. 건물 파사드, 입구 설계)
      • 도시 공간 디자인: 보행자 공간, 공공시설물 배치 (ex. 가로수, 벤치, 가로등)
      • 공원 및 녹지 디자인: 자연 요소와 인공 구조물을 조화롭게 배치 (ex. 테마파크, 공원 조경)
      • 상업 공간 외부 디자인: 매장 외관과 브랜드 아이덴티티 강화 (ex. 쇼핑몰, 레스토랑 외관)

      특징

      • 주변 환경과의 조화 고려
      • 기능성과 안전성을 중시한 설계
      • 자연 요소(식물, 물, 바람 등)와의 균형 유지

       

      2. 자연 개념: 지속가능한 디자인(Sustainable Design)

      지속가능한 디자인은 환경 보호와 자원 효율성을 고려한 디자인 접근 방식을 의미합니다.
      환경오염을 줄이고, 재생 가능한 자원을 활용하여 미래 세대까지 지속될 수 있는 디자인을 추구합니다.

      세부 분류

      • 친환경 건축 디자인: 태양광 패널, 단열재, 자연 채광 활용
      • 에코 인테리어 디자인: 재활용 소재 가구, VOC-free 페인트 사용
      • 지속가능한 제품 디자인: 생분해성 포장재, 업사이클링 소재 사용
      • 에너지 절약형 도시 디자인: 스마트 그리드 시스템, 친환경 대중교통 인프라 구축

      특징

      • 탄소 배출 저감
      • 재활용 및 친환경 소재 활용
      • 에너지 효율성을 극대화한 설계

       

      3. 환경디자인을 할 때 고려해야 할 조건

      환경디자인은 사용자의 편의성과 공간의 미적·기능적 요소를 동시에 고려해야 하는 복합적 디자인 분야입니다.

      ① 조화(Harmony)

      • 주변 환경과 어울리도록 색채, 질감, 형태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 건축물과 자연 경관이 부드럽게 연결되도록 디자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② 보존(Preservation)

      • 기존의 문화적, 역사적 가치를 유지하면서 현대적인 기능을 추가해야 합니다.
      • 예) 오래된 성당을 현대적인 갤러리로 리모델링하되, 원래의 건축적 특징을 유지

      ③ 배치(Arrangement)

      • 사용자 동선과 공간 활용도를 고려하여 기능적으로 구성해야 합니다.
      • 예) 카페에서는 주문대와 좌석 배치를 효율적으로 설계하여 동선이 원활하도록 조정

      ④ 접근성(Accessibility)

      • 장애인, 어린이, 노약자 등을 고려한 유니버설 디자인이 필요합니다.
      • 예) 휠체어가 이동할 수 있도록 경사로를 설치하거나 점자 블록을 배치

      ⑤ 심리적 안정감(Psychological Comfort)

      • 색채, 조명, 형태 등을 활용하여 심리적 안정을 주는 환경을 조성해야 합니다.
      • 예) 병원 인테리어는 밝은 색상과 자연 채광을 활용하여 환자의 심리적 불안을 줄임

       

      컬러리스트 디자인 실무

       

       

      4. 경관 디자인(Landscape Design / Handscape Design)

      경관 디자인은 자연 요소와 인공 구조물을 조화롭게 설계하여 시각적·기능적 쾌적함을 제공하는 디자인 분야입니다.

      세부 분류

      • 자연경관 디자인: 산, 호수, 강 등 자연 지형과 조화를 이루는 디자인 (ex. 국립공원, 호수공원)
      • 도시경관 디자인: 도로, 광장, 보도 등 도시 환경을 정비하는 디자인 (ex. 서울광장, 뉴욕 타임스퀘어)
      • 상업경관 디자인: 호텔, 리조트, 테마파크 등 상업 공간의 조경 디자인 (ex. 디즈니랜드, 고급 리조트 조경)
      • 공공시설 경관 디자인: 공원, 도서관, 박물관 등 공공장소의 경관 조성 (ex. 서울숲, 센트럴파크)

      특징

      • 자연과 도시가 조화를 이루도록 설계
      • 보행자의 동선과 안전성을 고려한 디자인
      • 계절 변화와 환경 보호를 고려한 지속가능한 설계

       

      5. 전시 디자인(Exhibition Design)

      전시 디자인은 박람회, 박물관, 미술관, 브랜드 쇼룸 등의 공간을 기획하고 구성하는 디자인 분야입니다.
      공간의 흐름과 조명을 활용하여 효율적인 정보 전달과 관람객의 몰입도를 높이는 것이 핵심입니다.

      세부 분류

      • 박물관 전시 디자인: 문화재, 예술품, 역사적 자료 등을 효과적으로 배치 (ex. 루브르 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 브랜드 쇼룸 디자인: 제품을 효과적으로 배치하여 브랜드 가치를 극대화 (ex. 애플스토어, 나이키 쇼룸)
      • 아트 갤러리 디자인: 조명과 배경 색상을 활용하여 작품 감상에 최적화 (ex. 국립현대미술관, 테이트 모던)

      특징

      • 관람객의 동선을 고려한 공간 배치
      • 몰입도를 높이는 조명과 색채 활용
      •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테마를 반영한 디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