쩌이의 블로그

다양한 정보들 올려 보도록 할게요. 저의 관심사는 물론 알아두면 좋은 것들 잘 찾아보도록 하겠습니다아!

  • 2025. 3. 25.

    by. jjeoe89

    목차

      컬러리스트 자격증 , 시대별 컬러

      1. 패션 유행의 개념

      패션에서 유행(트렌드)은 특정한 시기 동안 많은 사람들이 따르는 스타일, 디자인, 색상 등의 변화를 의미합니다. 패션 트렌드는 다양한 요소에 의해 형성되며, 몇 가지 주요 개념을 통해 이해할 수 있습니다.

      • 패드(Fad): 단기간 동안 급속도로 인기를 끌지만 금방 사라지는 유행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캐릭터 프린트 티셔츠나 특정 스타일의 모자가 한 시즌 동안만 인기를 끄는 경우입니다.
      • 크레이즈(Craze): 패드와 유사하지만 감정적으로 강하게 소비자에게 영향을 주는 유행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한정판 운동화나 특정 브랜드의 특정 제품이 폭발적으로 인기를 끌 때를 말합니다.
      • 트렌드(Trend): 비교적 장기간 지속되는 유행으로, 사회적 변화, 문화, 경제적 요인과 밀접하게 연관됩니다. 예를 들어, 지속 가능한 패션이나 미니멀리즘 스타일이 이에 해당합니다.
      • 스타일(Style): 특정한 시대나 문화적 배경에서 지속되는 고유한 패션의 형태입니다. 예를 들어, 1920년대의 플래퍼 룩이나 1950년대의 뉴룩이 있습니다.
      • 클래식(Classic): 오랜 시간이 지나도 변하지 않는 스타일로, 지속적으로 사랑받는 패션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블랙 드레스, 화이트 셔츠, 트렌치코트 등이 있습니다.
      • 포드(Ford): 한 번 유행하면 매우 대중적으로 퍼지며 누구나 입는 스타일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청바지나 흰색 스니커즈 등이 대표적입니다.
      • 플로프(Flop): 유행을 예상했지만 실패한 경우를 의미합니다. 대중의 관심을 받지 못하거나 외면당하는 패션 요소를 가리킵니다.

      2. 시즌별 유행색과 예측 방법

      패션업계에서는 시즌별 유행색을 예측하고 적용합니다. 일반적으로 유행색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변화합니다.

      • 봄(Spring): 밝고 화사한 색상이 주를 이룹니다. 파스텔톤, 연한 핑크, 라일락, 옐로우 등이 자주 사용됩니다.
      • 여름(Summer): 시원한 느낌의 컬러가 강조됩니다. 블루, 화이트, 민트그린, 라벤더 등 청량한 색상이 유행합니다.
      • 가을(Autumn): 따뜻한 색감이 중심이 됩니다. 브라운, 버건디, 오렌지, 머스타드 등이 대표적입니다.
      • 겨울(Winter): 깊고 어두운 컬러가 많습니다. 네이비, 다크 그린, 와인, 블랙 등이 주요 트렌드입니다.

      유행색은 패션 컬러 트렌드 기관디자인 업계의 연구에 의해 예측됩니다. 대표적인 기관으로는 팬톤(Pantone), WGSN, 컬러협회(Color Marketing Group) 등이 있으며, 이들은 사회적 이슈, 경제 상황, 문화 트렌드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유행색을 선정합니다.

       

       

      컬러리스트 자격증 , 시대별 컬러

      3. 시대별 유명 디자이너와 유행 스타일

      패션 트렌드는 디자이너들의 작품과 깊은 연관이 있습니다. 시대를 대표하는 디자이너와 그들이 만든 스타일을 알아보겠습니다.

      1900년대~1990년대 시대별 유명 디자이너와 유행 스타일

      1900년대 – 에드워디안 스타일 & 폴 푸아레(Paul Poiret)

      패션 특징: 코르셋이 강조된 에드워디안 스타일이 유행
      대표 디자이너: 폴 푸아레 – 코르셋을 없애고 드레이프 스타일의 드레스를 선보임
      대표 컬러: 골드, 로열 블루, 블랙 (귀족적인 느낌 강조)

       

      1910년대 – 실용적이고 우아한 스타일 & 마들렌 비오네(Madeleine Vionnet)

      패션 특징: 1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실용적인 디자인이 강조됨
      대표 디자이너: 마들렌 비오네 – 비대칭 디자인과 드레이핑 기법 개발
      대표 컬러: 뉴트럴 톤, 카키, 브라운 (실용성과 우아함 강조)

       

      1920년대 – 샤넬과 모던 클래식

      패션 특징: 여성의 사회 진출 증가, 실용적이고 편안한 의상 선호
      대표 디자이너: 코코 샤넬 – 리틀 블랙 드레스(LBD), 트위드 수트 유행
      대표 컬러: 블랙, 화이트, 골드 (세련되고 고급스러운 분위기)

       

      1930년대 – 우아한 실루엣과 엘자 스키아파렐리(Elsa Schiaparelli)

      패션 특징: 대공황으로 인해 실용적인 패션 등장, 하지만 우아함 유지
      대표 디자이너: 엘자 스키아파렐리 – 초현실주의적 디자인과 핑크 컬러 유행
      대표 컬러: 핫핑크, 실버, 네이비 블루 (화려함과 실용성을 동시에)

       

      1940년대 – 전쟁 속 실용성과 크리스찬 디올(Christian Dior)

      패션 특징: 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여성복이 실용적으로 변화
      대표 디자이너: 크리스찬 디올 – 뉴 룩(New Look) 스타일로 곡선미 강조
      대표 컬러: 베이지, 네이비, 카키 (전쟁 시기의 현실 반영)

       

      1950년대 – 우아한 곡선미와 허브 르네(Hubert de Givenchy)

      패션 특징: 여성스러운 실루엣이 강조된 시대, 풍성한 스커트 유행
      대표 디자이너: 허브 르네(지방시) – 오드리 헵번을 위한 우아한 디자인 제작
      대표 컬러: 파스텔 핑크, 화이트, 레드 (로맨틱하고 여성적인 색감)

       

      1960년대 – 모더니즘과 이브 생 로랑(Yves Saint Laurent)

      패션 특징: 미니 스커트 유행, 모더니즘 패션 등장
      대표 디자이너: 이브 생 로랑 – 몬드리안 드레스, 팬츠 슈트 유행
      대표 컬러: 원색(레드, 블루, 옐로우), 블랙 & 화이트 (대비 강조)

      1970년대 – 히피 & 보헤미안 스타일과 다이앤 본 퍼스텐버그(Diane von Furstenberg)

      패션 특징: 자연 친화적이고 자유로운 스타일 유행
      대표 디자이너: 다이앤 본 퍼스텐버그 – 랩 드레스 디자인
      대표 컬러: 브라운, 올리브 그린, 오렌지 (내추럴하고 따뜻한 색감)

       

      1980년대 – 파워 숄더 & 조르지오 아르마니(Giorgio Armani)

      패션 특징: 강한 실루엣과 화려한 스타일, 파워 드레싱 유행
      대표 디자이너: 조르지오 아르마니 – 남녀 모두를 위한 슈트 디자인 유행
      대표 컬러: 네온 핑크, 메탈릭 실버, 블랙 (대담하고 강렬한 색감)

       

      1990년대 – 미니멀리즘과 캘빈 클라인(Calvin Klein)

      패션 특징: 단순하고 실용적인 스타일, 로고 플레이 유행
      대표 디자이너: 캘빈 클라인 – 심플한 디자인과 언더웨어 트렌드 선도
      대표 컬러: 화이트, 그레이, 베이지 (미니멀하고 모던한 분위기)

       


      패션의 유행은 단순한 변화가 아니라, 사회와 문화의 흐름을 반영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특히 유행색은 시대의 분위기와 감성을 반영하는 중요한 지표가 되며, 패션업계에서는 이를 예측하고 반영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시대별로 변화하는 패션 컬러를 이해하면, 현재 트렌드의 흐름을 더욱 깊이 있게 분석할 수 있습니다.